ICT 정보통신기술

221020-2 정보보안(리눅스의 형식, 설치법, 기초 명령어, VM ware 사용법) / (부팅 단계별 버그 발생시 체크법) 본문

ICT 정보보안/정보보안 수업

221020-2 정보보안(리눅스의 형식, 설치법, 기초 명령어, VM ware 사용법) / (부팅 단계별 버그 발생시 체크법)

ict 이재형 2022. 10. 25. 22:17

윈도우는 8.3형식(확장자 有) --> 파일이나 폴더명 8글자, 확장자(프로그램과의 연결) 최소 1~3 글자 이내로 생성

리눅스는 7 형식(확장자 無) --> 파일이나 폴더명을 7글자

Q) 1.txt 라는 폴더가 있다. (리눅스에서)

A) X

password -> passwd

가상화 프로그램 3대장

1. M/H Hyper-v

2. Oracle : VirtualBox

3. VMware : VMware WorkStation(기업용 유료버전) / Player(무료버전)

VM ware 를 통하여 실제 Win10 안에 가상컴퓨터 설치 --> 새로운 운영체재 생성

* Linux 설치 시 유의

vm ware 가상 메모리 설정시 실제 메모리의 1/4 로 설정 (보통 1~2GB)

하드 용량 리눅스 default : 60GB

*Vm ware 를 통하여 Linux 설치 방법

vm ware 컴퓨터 조립 후

--> ※ CD /DVD => center OS 설정 ※

administrator

* 부팅 10단계(5번부터는 운영체제) 고장시

1. CPU + 메인보드 + 파워서플라이 --> 전원 불능

2. 메모리 --> 비프음 --------

3. 그래픽카드 --> 제조사 마다 다른 비프음

위 3번까지는 부팅 X

비프음 한번 정상신호

4. BIOS(basic input output system)(=firm ware) 기본 입, 출력 장치 체크 시스템

들어가는 단축키 : F2 / Del / ESC

위 3가지 항목( CPU, 메모리, 그래픽카드) 는 점검하지 않음

하드웨어 와 소프트웨어 차이

하드 : 물리적 작용 가능 (모니터 등)

소프트 : 오피스,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 (VM ware 는 가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면서 하드웨어를 가상으로 사용하게끔 해줌)

***리눅스는 다중 사용자

ctrl + alt + f2 ~ f6까지 각각 다른 사용자(터미널) 사용 가능

리눅스 설치 했을 당시 : 최소 설치, 개발자 설치 // 설치 모드만 다르게 설치 --> 개발 및 창조를 위한 워크스테이션

*리눅스 설치시 필요한 파티션

123 혹은 23번 지정해야 설치가능(현재는 23번만 해도됨)

1. /boot : 500MB

2. / (윈도우의 C드라이브와 같은 개념)

3. swap (가상메모리 --> 하드의 메모리를 RAM 처럼 사용) : 물리 메모리의 2배까지 지정가능 e) 16GB 램일 경우 가상 메모리는 32GB 까지만 할당 가능

만드는 순서는 역으로 진행해야 차곡차곡 만들 수 있음(23번만 만들시)

123 순으로 만들시 132 순으로 만들어야함

설치소스, 소프트웨어 선택, 설치 대상, KDUMP,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 설정 변경

관리자명

윈도우 os == > administrator

리눅스os == > root

** 리눅스 명령어

※ yum install -y epel-release ※--> 리눅스 설치 시 이 명령어 부터 무조건 먼저 실행

-clear : 모두 지워짐

ping 8.8.8.8 실행시 인터넷 상태 계속 출력

ping -c 4 8.8.8.8 실행시 인터넷 상태 4번 출력

# : shell 쉘 (명령 대기중)

useradd name : 사용자 생성

ctrl + alt + f2~f6 --> 터미널

ctrl + alt + f1 --> 리눅스창(like win)

-ps -ef | grep user (가장 중요한 명령어중 하나) --> 사용자 정보 모두 표시

ps -ef : 프로세스 상태보기

-e : 모든 프로세스 출력

-f : 풀 포맷으로 보여줌

-l : 긴 포맷으로 보여줌

grep [옵션] 패턴 [파일...] : 특정 문자열을 찾고 싶을 때 사용

w --> 유저 정보 표시

kill -9 username

※ yum install -y epel-release ※--> 리눅스 설치 시 이 명령어 부터 무조건 먼저 실행

yum install -y telnet-server (서버)--> telnet 이라는 server를 찾아서 다운받는데 미리 -y (yes) 해놓은 상태로 명령 실행

yum install -y telnet (클라이언트)

epel-release --> center OS 에서 설치할 telnet server의 경로를 알려줌

systemctl start telnet.socket

systemctl enable telnet.socket : 리눅스를 재시작 해도 실행하겠다

systemctl status telnet.socket : 시스템 서버 상태 확인

connection refused ---> systemctl status ternel.socket

systemctl stop firewalld --> 방화벽 정지

systemctl disable firewalld --> 방화벽 사용X

gedit /etc/sysconfig/selinux --> 메모장 나옴

telnet userIP --> 침투

침투 후 메세지 입력시 --> wall message

사용자 확인 w / ps -ef | grep user

침입한 사용자 kill --> kill -9 userI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