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전체 글 (15)
ICT 정보통신기술

라우터 뒷단(내부 포트)으로 ping 치는거 아님 라우터 앞단(외부(인터넷) 연결포트)으로 ping test --> PC 에서 라우터와 라우터가 연결된 곳으로 ping test * gns 상 -라우터간 스태틱으로 연결한뒤 show ip route S ip [ 1/0 ] -->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 * 라우터에 스위치가 있는 것처럼 보여주는 명령어 (정적 Static 라우터에서만 한정) conf t interface loopback 0 --> no shut 안함 (ip 주면 활성화, 안주면 비활성화) ip add IP --> 약 20억개 까지 지정가능 * Ping + ICMP(인터넷에서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를 알려준다) --> ※ 오류 보고 판단 가능하게끔 메모장에 복붙해서 오류찾아보기 ※ IP, ICMP..

* 라우터 수업 시작 -라우팅 : 정보를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정해 전송 -라우터 :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장비 (3계층 네트워크 계층) -라우팅 프로토콜 : 라우터간 목적지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이용되는 프로토콜 * OSI 7 Layer ==> 규칙 : 계층간 간섭 X [ 상위계층 (하위 계층을 포함) ]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7 응용 : 완성된 서버 -장비 : 게이트웨이 (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연결해줌) -..

* Wire Shark ICMP :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메시지를 보고한다 PING + ICMP : PING 은 항상 ICMP 데리고 다님 (ping 이 떨어지나 안떨어지나 보고해야하기 때문) * 필터 - 필터값이 없으면 자신의 컴퓨터를 캡쳐한다 - 출발지 주소가 지정된 아이피인것만 캡쳐한다 ip.src (소스) == 192.168.20.40 - 목적지 주소가 지정된 아이피인것만 캡쳐한다 ip.dst (목적지) == 192.168.20.41 interface s2/0 no shutdown encapusulation frame-relay (ietf) interface serial 2/0.12 p --> (point-to-point 단축키 : p) interface serial 2/0.12 m --> (mu..

* WAN 프로토콜 --> 라우터와 라우터 연결 Encapsulation HDLC 라우터는 WAN 프토로콜 별도 지정 안해줄시 --> HDLC 를 기본으로 사용 * WAN 연결 종류 1) Leased Lines : 전화선, 케이블TV --> 임대주고 빌려와 쓰는것 2) Circuit Switching : 송-수신 측이 연결되어야 데이터 전송 가능 --> 송-수신 측 사이에 세션(어떠한 행위) 이 연결되어 있어야함 3) Packet Switching : 비용 절약하기 위해 다른 회사와 회선 대역을 공유 * 포트번호 1 - 65,535개 1 - 1,023 : 알려진 포트 (Wall Known port) --> 서버가 전용으로 사용함 1,024 - 65,535 : 클라이언트가 사용 가능한 포트 --> 포트번호..
-IPv4 4x8 = 32 특징 : 16진수 4자리, Dot표현, 주소 생략 불가 -IPv6 16x8 = 128 특징 : 16진수 8자리, : 기호로 구분, 주소 생략 가능 IPv4 와 IPv6는 호환이 X --> 수업 * IPv4 는 클래스가 5개 (현재는 IPv6) ==> 클래스 만들어놓은 이유 : IP가 부족해서 사설 IP로 이용하기위해 [ 공인 IP : InterNet 이 가능한 IP, 중복 불가능 ] A class 0-126 --> 첫번째 Bit는 반드시 0이어야 한다 ) e) 1.1.1.1 --> 16,777,214 대 인터넷 사용가능함 ㄴ Network ID = 8 Bit Host ID = 24 255.0.0.0 16,777,214 --> 127로 시작하는 주소는 loopback(자가진단) ..
컴퓨터의 최소 단위 : Bit ( 0, 1 ) 컴퓨터의 기본 단위 : 1 Byte = 8bit 기본 : 105 키보드(영어) 16Bit = 2Byte ==> 포트번호 진법 처리갯수 데이터 사용비트 범위(표현) 2진수 2개 0, 1 1 0~1 4진수 4개 00 01 10 11 2 0~3 8진수 8개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0~7 16진수 특수기호 ^ : 캐럿 * 비트가 한자리씩 이동할 할 때마다 제곱값을 갖는다 ( + :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 / - :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) * 각각의 비트는 10진수의 고유값을 갖는다 * 진법에서 0은 사용안함, 1은 사용의 뜻을 갖는다. (컴퓨터는 1에 해당하는 값들을 합하여 처리한다.) * 자료저장 원리는 비트가 자료입력 진행되며 ..
내가 속한 그룹 R1 가정 R1 ※ 인터페이스 번호는 각자 확인! ※ enable config t enable password network line console 0 password conpass login line vty 0 4 password telpass login int fa0/0 ip add 172.16.1.254 255.255.255.0 no shut int serial 0/0 ip add 172.16.12.1 255.255.255.0 no shutdown clock rate 64000 bandwidth 2048 end copy running-config startup-config conf t router rip --> 동적라우터 version 2 network 172.16.0.0 end c..
mstsc : 원격 프로그램 (Win) 내컴에서 상대방 컴으로 통신하는데 거쳐야 할 단계 OSI 7 Layer (OSI 7 계층) 7. 응용계층 게이트웨이 6. 표현계층 5. 세션계층 4. 전송계층 3.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(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하기위함) (인터넷 :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(내부통신) 2. 데이터링크 계층 스위치(인터넷 연결 균등하게 연결해 동시 사용가능하게 함) 1. 물리계층 : 네트워크를 하기위한 하드장비 허브(연결 하나밖에 못함), PC(랜카드, 케이블) --> 전기적으로 동작시 2계층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..